인간 세포를 활용한 디스크 재생 모델 개발
30대 이상을 중심으로 증가하는 척추질환 대안 모색
디스크 퇴행 원인과 기존 치료법 한계
허리 통증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꼽히는 척추 디스크 퇴행(intervertebral disc degeneration, IVDD)은 주로 디스크 내부 세포(nucleus pulposus, NP)의 탈수를 원인으로 한다. 현재의 치료법은 통증 완화나 수술적 접근이 주를 이루며, 손상된 디스크의 구조 및 기능을 복원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텔로머레이즈 기반 인간 세포 활용 연구
최근 조직 공학적 접근법은 디스크 퇴행 치료에 새로운 가능성을 열었다. 연구진은 인간 NP 세포와 섬유륜 세포(annulus fibrosus, AF)를 텔로머레이즈(reverse transcriptase) 기술로 영구화해 iHNPCs와 iHAFCs를 개발하였다. 이 두 세포는 디스크 특유의 표지 유전자를 발현하며, 종양유발성이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세포 특성과 3D 프린팅 기술 활용
iHNPCs는 연골 형성(chondrogenic differentiation)에 높은 잠재력을 보였고, iHAFCs는 뼈 형성(osteogenic differentiation)에 효과적이었다. 연구진은 3D 프린팅을 통한 시트르산 기반 스캐폴드(citrate-based scaffold)를 사용하여 재생 모델을 제작했다.
이 모델에서는 iHNPCs는 중심 영역에서 연골 형성을, iHAFCs는 주변에서 뼈 조직 형성을 유도하며 자연 디스크 구조와 유사한 형태를 구현할 수 있었다.
척추 융합 연구에서 발견된 가능성
추가적으로 수행된 척추 융합 실험에서는 iHAFC를 이용한 부위에서 뼈 형성이 두드러졌으며, 연구 모델이 상당한 응용 가능성을 지니고 있음을 입증했다.
조직 공학적 적용과 예비적 가치
디스크 퇴행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는 NP 건강 상태를 중심으로 한 연구는 조직 공학에서 새로운 데이터를 제공하고 있다. iHNPCs와 iHAFCs는 디스크 건강 및 퇴행 연구에 중요한 도구로 자리매김할 가능성이 크다.
이와 함께, 세포 생존력을 지원하는 시트르산 기반 스캐폴드는 퇴행된 디스크 복구를 위한 효과적인 플랫폼으로 부상하고 있다. 향후 연구를 통해 치료의 임상적 활용 가능성 또한 기대되고 있다.
결론 및 임상적 관점에서의 기대
이번 연구는 인간 세포 기반 디스크 조직 공학의 새로운 장을 열었다. 디스크 퇴행 질환 및 척추 융합 치료 전략 구축에 있어 iHNPCs와 iHAFC의 가치가 명확히 입증되었으며, 특히 재생의학 및 바이오 기술의 발전 방향에 귀중한 통찰을 제공할 것이다.
출처 : 원문 보러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