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적외선 이미징제로 CA IX 섬유화 완화

새로운 NIR 진단·치료제, 췌장암 조기 발견과 치료에 돌파구 제시

췌관 선암(PDAC)은 늦은 진단과 치료 저항성으로 악명이 높은 암이다. 특히 만성 염증에서 암으로 발전하는 과정인 ICT(Chronic Inflammation to Cancer Transition)가 악화되어 암 발생의 주요 원인이 된다.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연구진은 새로운 가시광선-근적외선(NIR) 대사 이미징 및 치료제 ABSi-148을 제안했다.

ABSi-148, 저산소성 환경 대상 표적 치료 가능성 확인

ABSi-148의 핵심은 저산소성 환경에서 발현되는 Carbonic Anhydrase IX(CA IX) 단백질을 정밀하게 표적화하는 것이다. 4-(2-Aminoethyl) 벤젠 술포나마이드(ABS)에 MHI-148 염료를 결합해 만들어졌으며, 근적외선 특징을 갖춰 높은 생체적합성과 조직 깊이 투과 이미징 능력을 보여준다. 특히, 이 물질은 저산소 환경에 노출된 췌장 암세포 및 별세포에서 선택적으로 축적되며, CA IX를 효과적으로 타겟팅한다.

췌장암 전이 및 섬유화 억제 효과 확인

쥐 모델 실험에서 ABSi-148은 췌장 선암의 조기 병변을 시각화했으며, 장기간 투여 시 저산소성 섬유화를 억제해 췌장 전암 병변의 진행을 늦추는 데 성공했다. 이는 췌장 내피종(PanIN)과 PDAC 전이 과정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한다.

치료 기준 변화의 가능성, 타목시펜 병용 효과 향상

또한 ABSi-148은 치료 효과를 실시간으로 추적하고 종양의 저산소성 부위를 정확히 위치시킬 수 있어 치료 성공률을 높였다. 특히 타목시펜과 함께 투여했을 때, ACT 모델에서 생존율이 현저히 개선되어 췌장암 치료의 새 기준이 될 가능성을 시사했다.

ABSi-148은 ICT 과정 중 정밀 진단과 표적 치료를 제공하는 진단·치료용(NIR theranostic) 신물질로, 췌장암의 진행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며 상당한 치료 가능성을 제시한다. 이 연구는 췌장암 조기 진단과 맞춤형 치료에 중요한 전환점을 마련할 것으로 보인다.

출처 : 원문 보러가기

Leave a Comment